본문 바로가기
영종도 산책

백운산, 상수리나무 열매

by 조인스 자전거 2022. 9. 19.

바짝 마른 산책로에 혼자 피어난 '흰꽃무당버섯'

'굴털이버섯'같기도 한데 여러모로 '흰꽃무당버섯'에 가깝다.

버섯은 잘 모르겠지만 우리나라에서 피는 꽃들의 색깔을 보면 흰색이 제일 많다네.

 

 

 

어제 처음 만난 '굵은줄제비나방'을 오늘 또 만났다.

이놈은 어제 만난 나비들 다 합한 것보다 훨씬 더 예쁘게 생겼다.

 

 

'고동색우산버섯'

처음 자랄때의 모습으로는 버섯 이름 알아내기가 쉽지 않지만

자꾸 보다 보니 이제 조금 알 것도 같다.

 

 

여간해서는 사람을 잘 볼 수 없는 아침 산책로에 오늘따라 못 보던 사람들이 보인다.

알고보니 도토리 줍는 사람들이다. 건강한 백운산이 틀림없다.

 

 

 

건강한 '족도리풀'

꽃을 피운지가 언젠데 이파리는 아직 하나도 변함이 없다.

 

 

'모싯대'

작년에 봤던 곳에서 꽃을 볼 수 없어 섭섭했는데 오늘 다른 곳에서 만났다.

얼마나 반가웠는지 나도 모르게 탄성이 나왔다.

'우와'

 

 

 

하루가 다르게 숲길이 쓸쓸해지고 있다.

낙엽이 길을 거의 덮었다.

 

 

'꼬마꽃등에'와 '달개비꽃'

요즘 벌나비가 거의 안 보이는데 단소정한이 괜한 말이 아니다.

 

 

 

또 다른 단소정한 '꽃사과' 열매

 

 

'이고들빼기'

가을철 들길에는 사데풀, 산길에는 고들빼기다.

 

 

 

'큰갓버섯'

이름은 큰갓버섯인데 작게 자랐다.

 

 

 

세계 여러 곳에서 볼 수 있는 버섯.

큰갓버섯의 큰 특징은 버섯대가 뱀무늬 그리고 고리가 완전 링을 닮았다.

 

 

 

아침 8시 백운산 전망대에서 본 남쪽 하늘

 

 

 

카메라 장난을 약간 담아서 본 동쪽 하늘

 

 

 

'아주가' 꽃을 닮았지만 산꼭대기에 원예종 꽃이 피었을 리는 없고 

봄에 피는 '조개나물'같아 보이기도 하는데 이름도 그렇고 영문을 모르겠는 꽃.

 

 

 

잎에 난 무성한 털을 보면 조개나물이라고 해도 될 것 같다.

 

 

 

요즘 인기 많은 도토리.

갈참나무 열매.

 

 

 

 

'상수리나무' 열매

다른 참나무과 도토리보다 일찍 익는다.

등산로에 좌~악 깔렸다.

 

 

바짝 약이 오른 '간버섯'

 

 

 

오리지널 '담배풀'

 

 

 

보석같은 '고마리' 꽃

 

 

지금 백운산에서 가장 많이 핀 '산박하' 꽃

 

 

 

'물봉선'과 '꼬마꽃등에'

 

 

 

'좀작살나무열매'

보라색 열매 맺는 나무가 그리 많지 않아서 이 열매는 한 번 보면 잘 잊히지 않는다.

우리나라가 원산지라고 하는데 어릴 적 기억에는 전혀 없으니 별일이다.

흰색 열매가 달리는 '흰좀작살나무'도 있다.

'영종도 산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영종도 해변, 청다리도요사촌  (1) 2022.09.21
백운산, 금강아지풀  (1) 2022.09.20
백운산, 굵은줄제비가지나방  (0) 2022.09.18
영종도 해변, 개꿩  (0) 2022.09.17
영종도 해변길, 큰부리까마귀  (1) 2022.09.16