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영종도 산책

백운산, 흰목이버섯

by 조인스 자전거 2022. 8. 9.

백년 만에 폭우가 쏟아졌단다.

그렇다면 내 살아생전 처음 보는 물난리가 맞겠는데

어릴적 기억으로 보면 이런 물난리는 여름철에 자주 보던 풍경이다.

아무려나 백운산 숲속에도 여기저기 물 폭탄의 흔적이 보인다.

'밀애기버섯'

 

 

 

'제주쓴맛그물버섯' ?

물에 젖어 꼴이 말이 아니지만 본 모습은 의연하기만 하네.

 

 

 

'담갈색무당버섯' ?

 

 

 

버섯대가 희고 튼튼하고 색깔이 무당버섯은 틀림없는 것 같은데

정확한 이름에 자신이 없는 건 유난히 굵은 버섯대 때문이다.

 

 

 

비에 흠뻑 젖은 '뱀껍질광대버섯' 삼형제.

비가 내리면 빗방울을 수직으로 얻어맞는 버섯의 갓은 보기에도 안쓰럽다.

어떤 놈들은 대만 남고 갓이 다 부서지기도 한다.

 

 

 

'밀꽃애기버섯'

 

 

 

비가 추적추적 오는데도 지금 피어나는지 어두운 숲 한 귀퉁이가 환하게 빛을 발한다.

축축하게 젖은 다른 버섯들에 비해 아주 쌩쌩하다.

 

 

 

'흰목이버섯'

백운산에서는 처음보는 버섯으로

짬뽕에서 볼 수 있던 그 목이버섯의 일종이다.

 

 

 

'메꽃버섯부치'

죽은 나무 또는 마른 가지에서 피는 버섯.

 

 

 

아카시나무 고목에 핀 '아카시흰구멍버섯'

 

 

일년생으로 나무에 별로 피해를 주지 않는단다.

 

 

 

모양이 처음에는 반구형으로 연한 주황색을 띠다가 크면서

반원형으로 편평해지며 검은갈색으로 변한다.

 

 

'아까시재목버섯'으로 부르다가 최근에 '아까시흰구멍버섯'으로 이름을 바꿨다.

 

 

 

아까시아 나무 밑기둥에서 자라기 때문에

사람 눈에 잘 띄는 버섯이다.

 

 

 

단정한 모양을 자랑하는 '갓버섯'

버섯중에 가장 깨끗하고 늘씬한 버섯이 되겠다.

 

 

 

버섯 대 위쪽에 달린 고리는 위아래로 움직일 수도 있다.

대개가 깨끗한 풀밭이나 등산로 가에서 핀다.

 

'영종도 산책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백운산, 애기낙엽버섯  (0) 2022.08.11
백운산, 혀버섯  (0) 2022.08.10
백운산, 앵두낙엽버섯  (0) 2022.08.08
백운산, 팥배나무 열매  (0) 2022.08.05
백운산, 그물버섯아재비  (0) 2022.08.04