폭포를 중심으로 잠비아 땅에서 크게 선회하며 폭포를 구경시켜준 헬기가

이번에는 짐바브웨 쪽에서 빅토리아 폭포를 보여준다.

 

 

 

헬기 바닥에 뚫린 촬영용 구멍(?)으로 내려다 본 폭포하류의 협곡들.

지그재그형태로 흘러가는 잠베지 강의 면모가 그대로 드러났다.

 

 

 

세로로 첩첩히 쌓인 저 협곡들은 몇 만 년 전에 폭포물이 떨어져서 만든 흔적들이다.

하나 만드는데 약 만 년이 걸린다는데 얼마나 먼 지난 일들일까

도무지 감이 오지 않는다.

 

 

 

아무튼, 잠비아가 짐바브웨보다 좀 더 잘 산다더니 폭포 주변에 호텔들이 꽤 있다.

위편 중앙의 둥근 형태 건물은 ‘Zambezi Sun Hotel’ , 왼쪽 띄엄띄엄 기다랗게 보이는 건물은

‘The Royal Livingstone Hotel’ .

 

 

 

정오 햇살을 받아 하얗게 빛나는 빅토리아 폭포

면사포라는 이름의 폭포가 많던데 저 모양이 딱 그거다.

 

 

 

폭포를 가로질러 날던 비행기가 다시 하늘로 치솟아 오르면서

마지막 비행을 예고한다.

 

 

 

비교적 조용하고 편안한 비행을 보여주는 이 헬기 값은 비교적 싸다(?).

신품이 4-5억, 오래된 중고는 4-5천 만 원 한다는데

그렇게 보면 땅 위를 다니는 찻값이나 비슷하다.

 

 

 

짐바브웨 쪽에서 잠비아 쪽으로 비행한 헬기가 다시 선회한다.

사진 바로 아래 건물이 잠비아 출입국 관리소다.

 

 

 

그러니까 헬기가 폭포를 가로로

두 번 오가는 시간이 대략 10여분 걸린다.

 

 

 

이곳 헬기투어는 두 가지가 있는데

숏 타임은 대략 15분, 롱 타임은 30 여분 걸린다.

 

 

 

폭포 위를 한 번 더 날던 헬기가 드디어 기수를 왼쪽으로 돌린다.

이제 볼 장 다 봤으니 집에 가야겠다는 얘기다.

 

 

 

‘빅토리아 폴스’ 市와 마주한 헬기.

정면의 푸른색 지붕은 ‘The Kingdom Hotel’ 그 왼쪽

빨간색 지붕은 ‘Victoria Falls Hotel’.

 

 

 

점잖고 친절한 우리의 캡틴.

 

 

 

 

 

‘Victoria Falls Bridge’

 

 

 

절벽 위 건물들은 수력발전소 직원용 사택.

 

 

 

폭포 하류 쪽 풍경으로 완전 그랜드 캐년 풍이다.

 

 

 

폭포를 등지고 헬기가 자기 집으로 직행하던 중

 

 

 

캡틴이 손가락으로 아래를 가리킨다.

 

 

 

나무그늘에서 쉬는 기린 떼다.

 

 

 

우리 눈에는 다 거기서 거긴데 토백이 조종사 눈은 역시 뭔가 다르다.

 

 

 

짧은 시간이나마 함께 하늘을 날았던 인연 때문일까

‘땡큐 캡틴’이란 말이 나도 모르게 나왔다.

 

+ Recent posts